Search

실습 시나리오

출시 한 달, 입맛기록부 첫 만남의 장벽

낮은 진입률 문제 해결하기

문제: 사용자들이 기능에 들어오질 않는다!

목표: 월간 기능 진입률 25% (MAU 기준)
현실: 월간 기능 진입률 단 10% (MAU 기준) → (추이: 1주차 13% → 4주차 10%로 초기 하락 후 정체)

반전: 일단 들어오면 반응은 좋다!

'입맛기록부' 추천 메뉴의 클릭률(CTR)이 기존 추천 방식보다 +55% 높음 (목표 +50% 초과 달성 )
CVR도 기존 대비 +35% (목표 +30% 초과 달성 )

결론: 기능 자체는 매력적이나, 아무도 문을 열고 들어오지 않는다!

정리하면, 기능 자체는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공하고(높은 추천 효율), 일단 경험한 사람들의 반응은 긍정적
하지만, 가장 첫 단계인 **'기능을 인지하고 사용을 시작하는 단계(Entry)'**에서 큰 실패
실제로 홈 배너 클릭률(CTR) 1.6% (타 배너 평균 2% 내외)

왜 사용자들이 '입맛기록부'를 클릭하지 않을까?

배너 클릭률(1.6%)이 낮은 것이 정말 디자인이나 문구 때문일까?
혹시 배너는 잘 보이지만, '입맛기록부'라는 기능 자체가 사용자가 앱을 켠 맥락(음식 주문)과 너무 동떨어진 걸까?
"나중에 해봐야지" 라고 생각하지만 정작 다시 찾아오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것은 아닐까?
아니면 사용자들이 '입맛기록부'라는 이름에서 무엇을 기대하는지, 우리가 의도한 가치와 사용자들의 인식이 일치할까?

제한된 예산과 인력으로 ‘낮은 진입률’의 진짜 원인을 파악하기

사용자 리서치를 계획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가설을 구체화
무엇을 알아내야 할까? (리서치 질문 정의)
어떻게 알아낼 수 있을까? (리서치 방법 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