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문 요청내용
요청 원문
•
AI 친근화 및 업무 활용 촉진을 위한 방안 → 구성원 교육 (강의 및 튜토리얼)
•
AI의 업무 적용 및 체계적 활용 방안 → 업무 활용 가능성 검토 및 적용 (자문 및 워크숍)
◦
검증 업무: 다양한 케이스별 관련 규제/법령 신속 검색, 최적의 판단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
행정 업무: 검증 업무 결과물 정리, 선박/선사 검증 수수료 체계화, 검증 수수료 및 매출 관리 개선
◦
보고서 작성: 온실가스 관련 국가연구과제 보고서 효율적 작성,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화면정의, 로직 구체화 등)
2. 소개
김유정 박사
10년 이상 UX 분야의 학계·대기업·스타트업을 두루 경험하며, 각 현장에서 실무자들이 겪는 어려움과 니즈를 깊이 이해해왔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단순히 구색 맞추기식 AI 도입이 아닌, UX 실무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AI 활용 방법을 연구하고 교육합니다. 현재는 AI-UX 실무 적용에 대한 강의를 통해 기초부터 고급까지 다양한 수준의 실무자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
알고케어 Project Manager/Product Part Lead (2023-2024)
•
삼성SDS CX팀 Senior Designer (2020-2022)
•
University of Washington iSchool Rsearch Assistant (2018-2019)
•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UX/HCI 박사 (2015-2020)
•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UX/HCI 석사 (2013-2015)
•
서울대학교 국사학/언론정보학 학사 (2008-2013)
3. 제안사항
•
구성원 기초교육과 관심사 환기를 위해 강연 2회 진행
•
강연 진행 후 필요한 경우 검토를 통해 튜토리얼 세션 진행
•
자문은 구체적인 범위를 협의하여 진행여부 결정 → 확정 시 강연/튜토리얼과 병렬로 추진
3.1 기본기 강연
•
기초개념이나 툴 사용을 거의 해본 적 없는 초급자로 가정했을 때, 기초적인 지식 학습 필요
◦
트렌드가 너무 빨리 바뀌기 때문에 스킬만 익혀서는 금세 활용성이 떨어짐 → 기본적인 정의와 작동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
◦
2024년 하반기부터 다양한 모델/서비스를 혼합 사용하는 것이 중요해짐 → 시중에 출시된 매우 다양한 모델/서비스/기능을 확실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함
•
강의 구성(안)
회차 | 목적 | 내용 | 소요시간 |
1 | 생성형 AI에 대한 기초 이해를 통한 관심사 환기 | - 생성형 AI 정의 및 기본동작 원리
- 최신 트렌드와 업무 활용 사례
- 기본 툴 사용방법 개괄 (ChatGPT 중심) | 60-90분 |
2 | 현업 적용을 위한 중급 AI 활용 역량 강화 | - 2025년 트렌드: AI Agent
- 다양한 모델(서비스): Claude, Gemini, Perplexity 사용법 소개
- Deep Research 활용법
- 한계와 주의점 → 보안, 환각과 보상해킹 | 60-90분 |
◦
강의 회차는 회사 상황마다 다르지만 통상 2회 정도가 적절할 것으로 생각됨
▪
초급/중급으로 나눠서 진행하면, 구성원 수준을 다양하게 맞출 수 있어 유리한 점이 있음
▪
타사의 경우 1회만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 최대 5회까지 진행한 경우도 있음
▪
1회를 90-120분으로 통합하여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나, 권고하지 않음
◦
이미지, 영상, 오디오 생성 등은 활용범위를 다소 벗어나는 것으로 생각하여 포함하지 않았음
▪
내용의 전개와 진행이 일반 AI와 매우 다르기 때문에, 요청이 있는 경우 포함하여 따로 추가 가능함
▪
아주 기본적인 이미지 생성 관련 내용은 중급 AI 활용에서 간단히 다뤄짐
◦
강연 진행 톤 → 재밌고 말랑말랑한 느낌
3.2. 튜토리얼
•
강의를 진행한 후, 튜토리얼이 필요한 경우 구성원 니즈에 맞춰 구성 및 진행
•
튜토리얼 진행(안)
차수 | 주제 | 소요시간 |
1 | AI 기본기 익히고 프롬프팅 연습하기
- ChatGPT o1/o3 프롬프팅을 위한 XML 태그 활용
- Perplexity 모델선택/명령어 활용한 고급검색 실습
- 이미지, 동영상 생성 연습해보기
자잘한 업무 보조 세팅하고 활용하기
- 회의록 정리 자동화하기
- 이메일 다듬기, 이미지 파일 컨버팅, PDF 번역, 영문 교정, 영상 요약 등 | 120분 |
3 | Deep Research로 보고서 쓰고 시각화하기
- ChatGPT, Grok 3, Gemini, Claude, Perplexity의 Deep Research 활용
- Claude와 Gemini를 활용한 빠른 시각화 → PPT 연계
‘나만의 작은 GPT 팀’ 만들기
- ChatGPT Project 기능 활용
- AI로 가상의 업무보조 인턴, 정부과제 심사위원, 보고서봇 제작 | 150분 |
4 | NotebookLM으로 환각없이 자료 분석하기
- 방대한 자료 내에서 필요한 내용 빠르게 찾기
- 요약 및 시각화 진행하기
코딩없이 나대신 데이터 분석 시키기
- Google Colab/ChatGPT로
- 데이터 분석 결과 시각화하고 보고서로 정리하기 | 120분 |
◦
현재 요구사항에 맞춰 간단히 구성한 내용으로, 추후 검토 시 변경 예정
◦
회차 및 시간은 협의 필요
3.3 자문
•
자문 내용과 범위, 진행방식은 세부내용 협의 후 확정
•
요청사항에 대한 간략한 답변
구분 | 내용 | 간단한 답변내용 |
검증 업무 | 검증업무에는 다양한 케이스가 있고, 관련 규제 및 법령을 그때그때 확인하는 것이 중요. 어떻게 하면 빨리 찾을 수 있을까? | 주로 확인하는 소스가 어떤 것인지에 따라 다르지만 크게 문제없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
더 나아가 가능하면 최적의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움? | 어떤 의사결정이 필요한지에 따라 달라짐. 상세한 내용 필요. | |
행정 업무 | 검증 업무 결과물 정리 | 결과물 정리 형식이 일정하다면 최초 세팅을 공들여 한다면 가능할 것으로 보임. |
기검증 선박과 선사(선박회사) 검증 수수료 정리 (선사 특성상 페이퍼 컴퍼니도 많고 관리하기가 쉽지 않음) | 상세한 내용 필요. | |
검증 수수료 관리 / 매출 관리(검증 건수가 많고 액수는 선사마다 또 선박케이스마다 모두 다른데 검증원이 정리하다보니, 가지각색이고 확실하게 관리도 잘 안됨) | 상세한 내용 필요. | |
보고서 작성 | 온실가스 관련 국가연구과제를 진행하는 것이 있음. 관련 보고서를 효율적으로 작성하는 방법? | 현재의 AI가 가장 잘 보조할 수 있는 부분으로, 회사 정책에 따라 다르지만 레퍼런스 보고서가 있다면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 |
소프트웨어 개발(연구 과제에도 들어있지만, 정부와 기관 차원에서도 꼭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 IT(코딩)업체에 우리의 생각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화면정의 및 로직의 구체화 등.. 추후 설명 필요) | 상세한 내용 필요. |
4. 비용
•
단가
◦
강연 50만원부터 (1회/60분 기준)
◦
튜토리얼(실습) 100만원부터 (1회/120분 기준)
◦
자문 (형태에 따라 달라짐)
▪
월단위 → 자문미팅 0회
▪
시간당 → 계약기간 내 필요한 경우 자문미팅 진행
•
회차/시간/총액 기준으로 협의 가능
◦
전체 예산에 맞춰 구성 가능
◦
필요한 시간이나 회차로 책정 가능
5. 질의 및 논의 사항
•
구성원 교육 관련
◦
부서 내 인원 구성, 나이 및 성별, 특징 등 (기술 친화도나 관심도에 따라 내용 전달 방식 조절)
◦
AI 활용에 관한 전반적인 분위기 (궁금한데 바빠서 못써보겠다, 관심 자체가 별로 없다 등)
◦
부서에서 구성원 AI 구독비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인지? (유료로 써야 활용도가 있음)
◦
부서 내 보안 수준이나 사내 구성원 인식은 어떤지? (사기업의 경우 시중 AI 사용 불가하기도 함)
◦
교육 회차, 시간 등 구성에 대한 부분 협의 (전체적인 타임라인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
업무 관련
◦
규제/법령 검색은 주로 어떤 소스로 하는지, 고정되어 있는지
◦
검증 업무 결과물의 형식, 파일포맷 등은 어떤 형식인지?
◦
현재 진행하고 계신 정부과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화면정의, 로직 구체화 등) → 이 부분이 어떤 건지 알 수 있다면 좋을 듯.
Confidential